청주시민 기부인식 실태 조사결과 상세정보
청주시민 기부인식 실태 조사결과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4/12/29
첨부 첨부파일아이콘 청주시민 기부인식조사(2014.12).hwp
조회 2789

청주시민 기부인식조사 조사결과 요약
 
1. (사)충북시민재단에서는 청주시민의 기부인식 조사를 위해 2014년 8월부터 10월까지 무작위 추출에 의한 방문면접 조사 방식으로 청주시민 336명을 대상으로 기본 인적사항, 기부 경험, 기부의향, 기부참여 동기, 기부에 대한 만족도,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주시민의 기부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 이번 설문조사는 통합청주시민들의 기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기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현재 어느 정도의 기부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통해 향후 청주시민의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모금방법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3. 설문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청주시민들의 62% 정도가 기부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는 것은 전국 평균 48.25에 비해 높은 것으로 긍정적이다. 여기에 더해 지금 기부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기회가 되면 기부하겠다는 응답이 38%를 차지한 것은 모금기관과 비영리조직들의 노력에 따라 청주시민의 기부문화가 더욱 확산 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의 희망적이다.
 
❍ 시민들이 기부에 참여하는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행복(60.5%), 사회적 책임감(58.8%), 개인의 경험(48.6%), 동정심(46.8%), 종교신념(30.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부에 참여하게 되는 외적인 동기로 세제 해택, 가족문화, 매체의 자극 등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위의 요청, 경제적인 여유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부를 통해 개인의 행복감이 높아진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단순한 동정심에서 출발한 일회성 기부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기부 방법도 일회적 감성적 기부에 머물지 않고 장기적 지속적인 기부가 가능한 CMS 자동이체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은 기부문화의 안정성 측면에서 평가해 볼 수 있는 지점이다.
 
❍ 그러나 기부가 자발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기부단체의 권유, 주변 지인의 권유, 직장의 권유 등 비자발적인 기부가 일반적이라는 것은 한계점으로 판단된다. 이는 기부에 대한 사회적인 문화가 발전되지 못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향후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 캠페인 등이 확대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 이번 조사를 통해 향후 청주지역의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기부단체의 역할이 다른 어느 지역보다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기부자들은 우리 지역의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필요한 요인으로 비영리조직의 투명성 신뢰도 상승(21.4%), 적극적인 대중 캠페인 활성화(17.3%), 기부관련 제도적 지원 강화(14.3%), 내가 속한 공동체의 나눔인식 교육(9.8%) 순으로 답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금기관과 비영리 단체의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가 기부문화 확산에 매우 중요함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시민들은 기부시 우선 고려 사항으로 기부한 돈이 어디에 쓰여 지는지(34.8%)가 가장 큰 관심사항이자 기부를 유발하는 동기라는 측면에서 기부자들의 만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부처 발굴에도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끝으로 기부가 단순한 자선적 일회적 기부에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적 기부의 관점으로 확산될 수 있는 지역사회 나눔 인식 확산을 위한 교육, 모범적이고 모델적인 기부사례와 기부자 발굴과 확산 등 보다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 이번 설문조사는 청주시민들의 기부문화가 전국적인 흐름에 비해 결코 낮지 않지만, 기부문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모금기관과 비영리 단체들이 자발적인 기부에 의존하기 보다는 보다 적극적인 모금 캠페인을 전개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적극적인 권유를 한다면 현재보다 사회적 기부가 보다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2015년 각 기관 단체들의 모금계획 수립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페이스북 트위터
이전글 시민사회단체 사람들은 무엇으로 사는가
다음글 지방재정법 재개정과정에서의 NGO지원관련 혼선을 줄이기 위한 대책 의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