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활동가 소개

홈으로 이동알림마당공익활동가 소개
[함께가자&GO] 짜이를 끓이는 남자ㅣ양준석 상세정보
[함께가자&GO] 짜이를 끓이는 남자ㅣ양준석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07/19
첨부 첨부파일아이콘 함께가자NGO(행동하는복지연합 양준석 사무국장).pdf
조회 1607

 

 

[함께가자&GO] 짜이를 끓이는 남자ㅣ양준석

 

 

“대학에 오자마자 명지대에서 강경대가 죽고, 독재에 저항하는 죽음의 행렬이 이어졌습니다. 2학년 마칠 때까지 정신없이 아스팔트 위에서 보냈어요. 군 제대하고 1995년 복학해서는 공부 좀 해보려고 했어요. 그런데 이듬해 연세대 사태 때 학생회 간부들이 다 잡혀 들어갔어요. 임시로 총학생회에서 일한다는 것이 1997년도 총학생회장까지 맡게 됐습니다.”

 

양 국장은 그러면서도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 빠졌었다고 한다.  1990년대 말은 부문운동이 분화되는 시점이었다. 마침 총학생회 문예부장이던 후배가 사회복지 전공이었고, 그의 영향으로 사회복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됐다. 대학 졸업 후에는 자원봉사자로 일하며 세미나도 다녔다. 1999년부터는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복지위원회에서 시민운동을 시작했다. 2000년에는 16대 총선 낙천낙선운동을 하면서 대중운동에 눈을 떴다.
 

 

(중략)

 

6개월의 인도 체험은 양 국장을 결단하게 만들었다. 2003년 7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산남복지관에서 실무자로 일하는 값진 체험의 시간을 갖게 된 것이다. 관장인 최정묵 신부의 권유에 따른 것이었다. 사실 ‘애국적 사회진출’이라는 고민 속에서 사회복지의 길에 들어섰지만 그는 자격증도 없고, 현장도 몰랐다. 그런 수군거림을 들어오던 터였다.

 

(중략)

 

“참여연대에 들어갈 때부터 복지운동에 대한 지향을 갖고 있었던 것이잖아요. 다만 참여연대 내부에서 할 것인가, 아니면 별개의 단체를 만들 것인지를 고민했던 것이죠. 결국 내부논의를 거친 끝에 사무실을 독립하게 됐습니다.” 2005년 2월의 일이다.

 

(중략)

 

그렇게 예비사무실을 냈고 6월 22일 행복연을 창립했다. 시작은 더부살이였다.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에 있는 실업극복협의회 사무실 한 구석에 책상 하나와 컴퓨터 한 대를 놓고 시작했다. 그나마도 최정묵 신부가 ‘컴퓨터는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돈을 쥐어줘서 마련한 것이었다. 행동하는 복지연합이라는 이름을 정하는데도 세바그람의 방식을 적용했던 것 같다.

“믿기지 않을 거예요. 핵심 멤버들이 모여서 12시간 동안 머리를 맞대서 지은 이름이에요.”
행복연의 로고는 김규철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가 만들어줬다. 세 잎 클로버의 꽃말이 행복이라는 데서 착안한 것이다. 세바그람의 정신은 행복나무 빌딩을 임대하고 행복카페를 만드는 과정 속에서 온전하게 빛났다. 약 250명이 노동과 재능, 현물, 현금을 기부했고,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데만 5개월이 걸렸다. 연극단체 ‘문’이 사용했던 지하는 그대로 공연장이 됐고 회원들과 자원봉사자들의 노동기부를 통해 건물을 리모델링했다. 현대건설은 냉난방기, 청주MBC는 냉장고, 시립 미평어린이집 원장은 제빙기, 이가디자인은 인테리어, 전시기획 다연은 지하무대를 후원했다. KCC는 친환경페인트를 제공했다.

행복카페 중앙에는 실제로 커다란 행복나무가 있다. 뿌리는 구성원들의 심장속에 있다. 그래서 늘 무성하다

 

(중략)

 

“미시적 복지는 직접 서비스입니다. 80% 이상이 이 틀을 벗어나지 못하죠. 배고픈 사람에게 밥을 주고, 아픈 사람을 병원으로 데리고 가는 겁니다.” 사실 그거면 되지 않을까? 그것마저도 국민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국민 대다수가 보편적 복지를 퍼주기라고 손가락질하는 나라가 아닌가. 도대체 거시적복지는 뭐냐고 물었다. 양 국장은 이에 대해 정부나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을 분석하는 것과 역동적인 복지주체를 훈련시키는 일이라고 요약해서 설명했다.
하나씩 풀어가 보자. 먼저 예산분석에 대한 그의 설명이다.
“복지예산을 들여다보면 그 안에도 대규모 공사판을 벌이는 것처럼 토목이 있습니다. 그것을 감시하고 지적하는 것이죠. 더 나아가서는 지방선거 때 공약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소리만 요란하고 일하는 시늉만 내는 복지, 예산의 규모로 평가받는 복지는 ‘오직 삽질이 경제를 부흥시킨다’는 토목 지상주의와 다를 바 없다는 얘기다. 이에 반해 ‘역동적인 복지주체’는 그 개념에서부터 힘이 느껴진다. “사회복지 실무자는 물론이고 대학 전공자들, 주민까지도 사회복지를 알고 실천하는 사람으로 키우는 일입니다. 10명을 모아서 3개월 동안 매주 6시간씩 교육합니다. 1박을 하는 프로그램도 있어요. 감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땐 딸 수 있는 사람들을 만드는 거죠.”

 

(중략)

 

"저도 모든 종교가 좋습니다.”
이런 양 국장의 이념을 무어라 정의해야 할까? ‘세계주의자’는 왠지 정복자의 느낌이 난다. 그건 아니다. 얘기를 듣고 보니 그는 걸어서라도 지구를 한 바퀴 돌 태세다. 말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그에게 ‘지구주의자’라는 별명을 붙여본다.  그 별명에 ‘지구를 하나의 마을로 보는 생각의 광대함과 공존을 바라는 시선의 따스함이 함께 녹아있다’고 자평하면서 말이다.
양 국장은 끊임없이 자기충전을 하는 사람이다. 그것만 양 국장은 끊임없이 자기충전을 하는 사람이다. 그것만 놓고 보면 자기중심적이다. 그러나 양 국장의 구상을 듣고 보면 생각이 달라진다. 앞으로 활동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다는 것이다. 활동가 쉼 프로젝트에 월 10만 원을 후원하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물질이 아니라 어떤 관점으로 보는가가 행복의 기준을 만듭니다. 시민운동가, 사회복지활동가부터 그렇습니다. 공간이 있어야 사람이 모입니다. 모여서 이야기하다 보면 아이디어가 나오죠. 활동가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싶습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이전글 [함께가자&GO] 소셜 디자이너를 꿈꾸는 청년활동가ㅣ엄승용
다음글 [함께가자&GO] 신문 읽어 주는 수희 씨ㅣ이수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