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계좌 농협
    301-0102-2620-71
    사단법인충북시민재단
  • 전화번호 043-221-0311
    팩스번호 070-7204-1347

자료실

홈으로 이동>(사)충북시민재단공유자료실
시민사회단체 '새로운 모금방법 찾아라' 상세정보
시민사회단체 '새로운 모금방법 찾아라'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3/09/26
첨부 조회 3271
시민사회단체 '새로운 모금방법 찾아라'
충북NGO센터 157개 단체 조사, 이 중 95개 청주에 집중
87년 민주화운동 이후 급격히 증가했으나 회원 100~500명
 
2013년 07월 10일 (수) 09:48:39 홍강희 기자 tankhong@cbinews.co.kr
 

충북지역은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이 활발한 편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 급속하게 성장했다. 특히 청주지역에는 상당히 많은 시민사회단체가 집중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대도 관치가 아닌 협치를 요구하고 있다. 시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기업, 개인 등을 감시하고 이들에게 쓴소리를 하는 사람들은 다름아닌 시민사회단체들이다. 이들이 감시를 잘 할수록, 쓴소리를 많이 할수록 지역사회는 건강해진다. 지난해 건립된 충북NGO센터는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 현황조사’를 토대로 단체 실태와 활동가들의 삶에 대해 발표했다.
 

 

   
▲ 충북NGO센터는 지난 4일 상근활동가 직무개선 방안 토론회를 열고 구조적인 문제점들을 짚었다.

 


도내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급여는 예상대로 낮았다. 전체 55%에 해당되는 사람들이 월 100~150만원, 25%가 월 150~200만원을 받고 있다. 이들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은 것도 경제적 빈곤이다. 2010년 이후 새로 창립된 단체는 ‘충북교육발전소’와 ‘인권연대 숨’ 밖에 없고 상근 활동가 숫자도 정체돼 있다. 하지만 70%에 달하는 사람들이 근무환경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충북NGO센터는 지난 2~5월 충북도에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 365개와 비등록단체 28개를 대상으로 단체 현황조사를 했다. 조사는 충북대 사회학과 석사과정에 있는 손은성·장지현 씨가 맡았다. 이 중 활동가가 있고, 사무실이 있으며, 사업내용이 있는 단체 3가지 항목 중 최소 한 개 이상 해당되는 단체는 198개. 그러나 22개 단체가 조사를 거부해 157개를 중심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이 조사를 바탕으로 시민사회 활성화방안에 대해 발표한 송재봉 충북NGO센터장은 “전체 157개 단체 중 95개가 청주에 있다. 분포율 60.5%를 차지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분포율 49.9%를 넘었다. 지역적으로 볼 때 시민사회단체 집중률이 수도권보다 더 높다. 충북지역은 1987년 민주화운동 이후 급격하게 늘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단체 재정력은 높아지지 않고, 인건비 부담으로 상근활동가 채용이 정체되거나 전문성을 확보한 중견활동가 부족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는 것.

그는 이를 위해 기부문화와 모금 전문가 양성, 활동가 역량강화 교육 확대, 충북시민재단과 NGO센터의 역량 강화, 시민기금 조성, 지방정부와 시민단체간 거버넌스 문화 형성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조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 및 연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제공돼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많은 활동가들이 자신과 조직의 발전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다.

이어 송 센터장은 지방정부와 시민단체간의 협력적 파트너십 중요성을 거론했다. 그는 “자치단체장이 시민사회를 전략적 파트너로 인정하고 시민사회와 협력을 통해 지방정부를 운영하겠다는 의지가 부족하다. 관료적으로 운영하면서 사안별로 협력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단체장과 관료들은 일방적인 결정을 하고 시민사회는 들러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 민·관거버넌스가 잘되기 위해서는 자치단체장의 개방적인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 단체장이 시민단체를 인정하지 않으면 거버넌스는 물건너 간다. 이런 점에서 민주당 단체장들은 과거 새누리당 단체장들보다는 개방적이나 기대에 미치지 않는다는 게 중론이다. 충북의 시민사회단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여성단체이고 대부분의 단체 회원수는 100~500명에 집중돼 있다. 이는 회비로 자립할 수 없는 구조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 날 토론자로 나왔던 활동가들은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쏟아냈다.


   
 

--------------------------------------------------------

 

민단체 활동가들 '근무환경 OK, 급여 NO'
설문 응답자 73명 중 절반이상 '월 급여 100~150만원'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충북NGO센터가 지난 4~5월 조사한 설문에 참여한 활동가들은 73명 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대학을 졸업했고 기혼이었으며 사명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단체에 들어왔다고 답변했다. 급여는 절반 이상이 월 100~150만원을 받으나 160~250만원이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대체로 본인의 소득으로 생활이 불가능해 배우자의 도움을 받고 있으며 노후대비·생활비·자녀교육비 등의 순으로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활동하면서 부딪치는 가장 큰 어려움도 경제적 빈곤이라고 답변했다.

그리고 이들은 전문성 향상에 필요한 교육을 가장 원하고 있으면서 담당 업무에 관한 만족도는 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3%가 긍정적으로 답변한 것을 볼 때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의 삶에 대해 분석한 이혁규 청주교대 교수는 “충북지역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근무환경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편이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다. 개별 시민단체의 차원을 넘어 활동가 전체를 지원할 수 있는 공익기금이나 재단을 만드는 게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마을만들기·협동조합·공유경제 등의 아이디어를 활용해 생계비를 줄이고, 질높은 문화를 공동으로 향유할 수 있는 대안적 삶의 방식을 모색해 보는 것도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직업적 만족도는 임금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건 아니다. 우리지역 활동가들의 직무환경 만족도가 높은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덧붙였다. 또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회적 학습망을 정비하고 무료 혹은 저렴한 값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향후 충북시민재단에서는 활동가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연수 프로그램 신설에 발빠르게 대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두 가지가 가장 시급하다.

페이스북 트위터
이전글 50가지 모금 아이디어_50 Funding Ideas
다음글 사단법인 충북시민재단 설립 및 운영계획